Ch1. 클라우드 서비스 개요

클라우드 컴퓨팅의 유형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멀티

퍼블릭 vs. 프라이빗

퍼블릭

사용자는 컴퓨팅 리소스를 소유하지 않음 인터넷을 통해 제공 가상화 기술로 만든 서비스 그대로 사용

프라이빗

특정 조직내에서 컴퓨팅 리소스 소유 사설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가상 컴퓨팅 기술 직접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CSP)

해외

aws, Google Cloud, Azure가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고, 중국 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한다면 Alibaba Cloud나 Tencent Cloud 사용을 추천한다.

국내

Naver Cloud Platform, NHN Cloud가 가장 대중적으로 쓰인다.

국외 기업들은 정책적인 이슈로 공기업이나 금융권 진입이 어렵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이 이쪽으로 확장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나 국내에서나 모든 CSP중 AWS가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특징

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터넷을 통해 IT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할 때 언제든지 사용한만큼 요금을 내는 서비스 (on-demand)

클라우드 서비스 특징

  • 탄력성 / 민첩성
    • 리소스에 대해 필요할 때 언제든 늘리고, 줄일 수 있음
    • 단 한번의 클릭으로 생성﹒삭제 및 확장
  • 확장성
    • 물리 서버를 확장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반면, 클라우드는 즉시 확장 가능
    • 급증하는 서비스 트래픽에 빠르게 대비
    • 프라이빗 클라우드와의 차이점 - 기존 온프라미스의 경우 서버를 구입하고 설치하는 텀이 길었으며 반도체 대란으로 인해 서버 구입시 많은 지연이 발생
  • 사용한 만큼 지불
    • 비용 예측 가능
    • 프라이빗 클라우드와의 차이점 - OPEX (운영 지출), CAPEX (자본 지출)이 있는데 온프라미스의 경우 CAPEX를 상당히 많이 필요로 한 반면에 클라우드는 OPEX로 대체가 가능하다.
      • 기업입장에서 사업이 잘 안될 경우, 온프라미스는 이미 서버를 구입했기 때문에 비용 회수가 불가능한 반면에 클라우드는 투자 비용이 없으므로 그냥 사용하지 않으면 끝이다.
  • 내결함성 및 재해복구
    • 클라우드 백업 및 클라우드 DR(재해복구) 구성으로 데이터 손상 및 긴급 상황에 대처 가능
    • 내결함성과 재해복구를 고려한 설계가 가능
    • 다양한 지역에서 서비스를 provisioning할 수 있어서 재난 상황시 유럽이나 미국 같은 곳에 동일한 서비스를 구성해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도록 설계
    • AWS에서 내결함성에 대해 얘기할 때 S3를 가장 많이 얘기함.
    • 99.999%의 내결함성
      • 데이터를 한 곳의 데이터센터에 저장하는 것이 아닌 여러 데이터센터에 저장해서 데이터의 손실과 복구를 최소화함
  • 고 가용성
    • 손쉬운 다중 가용영역 설정에 따라 고 가용성을 보장
    • 여러 개의 데이터센터가 고속 네트워크망으로 연결

      → 고 가용성을 위한 이중화 구성 가능

  • 유지 관리 간소화
    • 물리적인 리소스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부분적으로 클라우드 CSP 벤더에 위임
    • 클라우드 CSP에 위임하므로 재난 상황 관리 불필요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IaaS / PaaS / SaaS)

제공자가 어디까지 관리하느냐에 따른 모델

IaaS

물리적인 자원이 가상화돼서 제공되는 서비스 ex) ec2

PaaS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 ex) rds

SaaS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특정 앱 또는 웹 포털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완전한 SW Solution)

image

기존 인프라와 차이점

온프라미스와 달리 클라우드는 인프라 운영 및 보안에 있어 공동 책임 모델을 적용하며, 단 시간에 인프라 구성이 가능하고 몇 번의 클릭으로 서버 증설이 가능하다.

또한 운영 지출 방식이며 (온프라미스는 자본 지출 방식) 회선 속도나 용량을 정할 수 없기 때문에 트래픽을 사용한만큼 지출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오픈소스 Application을 스스로 구축하는 온프라미스와는 달리 클라우드는 pre-built된 오픈 소스 Application을 즉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