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2. AWS 서비스 개요

AWS의 글로벌 인프라

리전 (Region)

  • AWS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리소스이 지리적 위치
  • 각 리전 간 글로벌 네트워크 백본 연결
  • 각 리전에는 고유의 코드 부여 (지역(ap) - 지리적 위치(northeast) - 순번(2))
  • 리전의 코드는 API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잘 참고해야함.

리전 선택 고려사항

  • 리전 별 서비스 제공 유무 확인
    • 리번 별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르기 때문에 중요
  • 리전 별 서비스 가격 확인
    • 리전 별로 가격이 다름
  • 가용 영역 (Avaliability Zone - AZ)
    • 하나의 리전은 최소 2개 이상의 가용 영역으로 구성됨
    • 가용영역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센터로 구성
      • 리전 내에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여러개의 데이터 센터
    • 서울 리전은 현재 4개의 가용 영역 운영
      • A - C / B - D 로 논리적으로 구분됨 (과거에 A, C가 먼저 나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저렇게 짝이됨)
      • 주의 - 서로 다른 VPC에 같은 존이라고 해서 같은 데이터 센터를 의미하는 것 아님

AWS 엣지 로케이션 (Edge location)

  • Amazon CloudFront / Route53을 위한 캐시 서버들의 모임
  • AWS 전 세계 리전에서 빠른 접근성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 (400개 지점)
  • Lambda@Edge (가까운 지역 위치에서 서버리스 코드 실행)를 통해 성능을 개선하고 지연 시간 단축
    • 아마존 닷컴 사이트가 미국 리전에 위치했지만 전세계 고객이 빠르게 웹 사이트에 접근이 가능한 이유가 바로 이 엣지 로케이션 캐시 서버 덕분이다.